2023.08.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9℃
  • 흐림강릉 28.1℃
  • 구름많음서울 28.3℃
  • 구름많음대전 26.1℃
  • 흐림대구 25.3℃
  • 흐림울산 25.1℃
  • 구름조금광주 28.3℃
  • 흐림부산 28.7℃
  • 흐림고창 26.5℃
  • 구름많음제주 27.0℃
  • 구름많음강화 26.1℃
  • 흐림보은 25.6℃
  • 흐림금산 26.2℃
  • 구름많음강진군 30.0℃
  • 흐림경주시 26.2℃
  • 흐림거제 26.5℃
기상청 제공

블록체인

맵 프로토콜, 옴니체인 시대의 입증된 안전한 크로스체인 선택

첫 번째 크로스체인 페어 Near, BNB 지원… 유명 체인 잇달아

 

현존하는 기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웹3 크로스체인 산업은 많은 해킹에 기여한 다자간 컴퓨팅 및 오라클과 같은 중앙 집중식 보안 메커니즘에 의존하고 있다. 모든 유동성, 자산 및 다양한 체인의 사용자를 연결하는 Web3의 진정한 멀티체인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고유하게 설계된 “자체 검증(Self Verifying)” 크로스체인 인프라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크로스체인 솔루션은 최근 레이어1(Layer-1s) 분야에 블록체인 업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맵 프로토콜(MAP Protocol)은 지난 4년간 라이트클라이언트 및 영지식(ZK; Zero- Knowledge) 기술과 완전한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자체 검증”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으며, 고유한 “검증 가능한” 크로스체인 인프라를 설계하였고, 이를 “옴니체인 네트워크”라고 명명해 즉각 지원하였다.

 

옴니체인 네트워크는 디앱(분산형 거래소, 웹3 메신저, NFT 마켓플레이스 등)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멀티체인 디앱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호운용성의 미래를 재정의하여 새로운 옴니체인 시대를 구축하는 것이 MAP의 목표이다.

 

맵 프로토콜은 지난 8월 31일 체인 간 거래를 처리하는 릴레이 체인 맵 프로토콜의 지분증명(PoS) 메인넷을 가동하고 옴니체인 시대를 선포했다. MAP의 첫 번째 크로스체인 페어로 니어 프로토콜(NEAR)과 BNB(바이낸스 체인)을 11월 지원할 예정이다. 오는 12월 이더리움 2.0, 폴리곤(Matic), 클레이튼(Klaytn) 페어 또한 순차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플로우, 솔라나, 앱토스, SUI, 아이오텍스, 하모니, OKC, KCC, 아비트럼이 그 뒤를 잇는다.

 

플로우(Flow)의 개발자 대변인 탕 보호(Tang Boho)는 “오늘날 현존하는 대부분의 크로스체인 솔루션과 달리 맵 프로토콜의 크로스체인 기능은 자산 브리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NFT와 데이터를 연결하는 최고의 능력은 새로운 플로우 기반 dApps을 구축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교 컴퓨터과학 및 공학부 교수 양 리우(Yang Liu)는 “맵 프로토콜은 성숙하고 참신하며 안정적인 크로스체인 설계를 통해 EVM과 비 EVM 체인 간의 안전하고 원활한 크로스체인 통신 및 자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체인 아키텍처는 멀티체인 확장을 허용하고 안전하지 않은 크로스체인 메시지의 위험을 방지한다. 또한 고유한 영지식(ZK) 기반 라이트 클라이언트 설계는 이기종 체인 개발의 어려움을 줄이고, 크로스체인 메시지 전송 보안을 보장한다. 맵 프로토콜이 거의 모든 블록체인과 호환되고 릴레이 체인에 디앱을 기본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프로토콜은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구성요소가 될 것이며 크로스체인 기술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마트 계약 감사 전문 기업 서틱(Certik)의 CBO 제이슨 지안(Jason Jian)은 “보안은 맵 프로토콜의 최우선 과제이며, 이는 Certik을 장기 감사 파트너로 선택한 이유”라고 밝혔다.

 

“레이어2가 확장성의 새로운 시대를 낳았다면, 맵 프로토콜의 옴니체인 네트워크는 상호운용성의 새로운 시대인 옴니체인 시대를 탄생하기 위해 존재한다. MAP은 블록체인 산업을 수평적으로 확장하여 웹3의 대량 채택을 가능하게 하려는 옴니체인 운동(movement)이다. MAP은 2023년 말까지 대부분의 레이어 1 및 레이어 2를 지원하여 옴니체인 운동에 동참하고자 하는 모든 개발자에게 풀 스위트 SDK, 스마트컨트랙트 템플릿 및 통합 지원 제공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4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구축한 맵 프로토콜의 라이트클라이언트 및 ZK 기반 옴니체인 인프라는 Web3 시대에 블록체인 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NEAR, BNB 등 시작으로 유명 체인을 지원하고 dApp 개발자를 중심으로 옴니체인 생태계 구축을 위한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골든트리뉴스 나재성 기자 |newsgoldentree@gmail.com


블록체인 국내 1호 코인&FX 선물통합거래소 국내 서비스 런칭
부산광역시의 블록체인 규제 특구 지정 이후 4년이 지났으나 ‘디지털 금융 도시’라는 말이 무색하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업이전과 성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유출되는 청년들을 붙잡고 부산의 활기를 높이기 위해서 실증 범위로 산업 육성 방향을 확장해야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블록체인은 현실생활에서 구현되는 기술로서의 특성과 디지털 자산이라는 금융상품으로서의 성격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이 두 가지가 확실하게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며 “블록체인 특구로서 부산의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실증 사업의 범위가 넓어지면, 이 둘이 더 긴밀하게 연결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대표주자인 업비트는 하루 거래대금 약 21조 4천억 원화거래 수수료 0.05%로 하루 약 수수료 매출이 96억원 수준인 것으로 일 매출 100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새 먹거리 찾기에 분주하다. 일부 거래소는 대체불가능토큰(NFT)이나 메타버스 등 블록체인과 관련 신사업에 진출했으나 성적이 신통치 않은 상황이다. 세계 1위의 바이낸스거래소는 거래 수수료만 연 20조가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인증 원스탑 누리집 개시
 골든트리뉴스 관리자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TTA’)는 디지털 혁신에 따른 첨단 제품의 인증취득 애로를 해소하고 국내 인센티브 및 수출 레퍼런스 확보를 위해 국내외 인증관련 정보를 통합 지원하는 인증 원스탑 누리집 서비스를 8월 31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인증 원스탑 누리집은 국내 기업이 요구하는 인증정보 제공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 법정 인증제도뿐만 아니라 규제개선 제도, 해외 인증정보 등을 안내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증제도와의 연계, 인증분야 전문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통합 지원 서비스이다.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인증관련 정보로는 국내 법정 인증뿐만 아니라, 신기술/제품, ICT 및 산업 융합으로 기존 인증을 받을 수 없는 첨단 제품에 대해 품질 및 우수성을 인증해주는 인증 제도 등을 모두 포함하며 관련 규제개선을 지원하는 규제샌드박스 제도와 해외인증정보를 연계한다.   또한,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적합한 인증제도를 찾을 수 있는 맞춤 인증 찾기와 정보통신, 전기·전자, 바이오·의료, 에너지·자원 등 다양한 분야의 인증 관련 전문가를 통해 수요 기업에